경기도 야생동물센터, 서울대 수의대와 멸종위기종 보호 방안 모색

멸종위기 천연기념물 적정 마리수와 생태보전 위해 인공번식 필요 등 논의

 경기도야생동물구조센터와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이 멸종위기 야생동물들의 보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했다.

 1026일 도에 따르면 경기도야생동물구조센터는 1019일과 262회에 걸쳐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본과 3학년 5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야생동물의 치료와 재활에 관한 현장실습 및 자유토론을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우선 박상현 재활전문가의 멸종위기 천연기념물인 매(천연기념물제323-7)와 수리부엉이(천연기념물 제324-2)에 대한 재활실습 시연으로 시작했다. 이후 치료와 재활이 끝난 황조롱이(천연기념물 제323-8)를 자연으로 복귀하는 자리를 가졌다.

 자유토론에서는 천연기념물 등 멸종위기동물에 대한 적정 개체수 유지와 보전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참가자들은 멸종위기 야생조류의 인공번식에 대한 연구와 번식장 설치가 시급하고, 이를 위한 전문가들의 참여와 협조가 절실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이에 센터는 현재 계획 중인 멸종위기 야생조류의 인공번식 연구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전문기관 및 전문가와의 상호협력을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임병규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장은 이번 자유토론에서 제시된 젊고 신선한 영 아이디어(Young Idea)를 인공번식 사업에 접목하겠다.”면서, “연구에 사용되는 조류의 생태에 관해 서울대학교 등 전문가들과 긴밀히 협조할 예정이라 말했다.

 한편, 이번 현장교육은 지난 20093월 서울대학교와 체결한 업무협약에 따른 것으로, 매년 수의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실시해오고 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