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이 현실로‥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 멋랩에서 멋내볼Lab?

각종 영상, 사진촬영 가능한 ‘멋스튜디오’도 함께 운영 중

 경기도와 의정부시가 공동 설립한 디자인·제조 융합 콘텐츠 창업 공간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에서 멋랩을 올 연말까지 시범운영 한다.

 1028일 도에 따르면 멋랩은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가 운영중인 팹랩(Fab Lab : Fabrication labotory)형 디지털 장비실로, 3D프린터, 레이저커터 등 각종 디지털 제작 장비를 통해 누구나 자신의 기술적 아이디어를 실험·구현할 수 있는 공공 공작소다.

 현재 멋랩에서는 레이저로 물건을 자르거나 표면에 마킹을 할 수 있는 레이저커터,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잉크를 순간 경화시켜 목재나 금속, 섬유 등에 인쇄할 수 있는 UV프린터, 3차원 형상을 밀링 가공하는 절삭 기기인 CNC조각기, 소형 CNC조각 기능과 소형 밀링, 드릴, 연마 등의 다양한 공작 기계로 활용 가능한 소형공작기계,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필라멘트를 녹여서 적층하는 방식), Polyjet(광경화성수지를 자외선으로 굳히는 방식) 2가지 방식의 3D프린터 등 각종 기기를 보유하고 있다.

 디자인·제조업 융합 기반 창업 관심자 및 기 창업자, 창의 메이킹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다. 운영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이며, 직접 또는 멋랩 운영자의 기술지원을 통해 디지털 장비를 사용하면 된다. 특히, 초보자들을 위한 기본 장비교육이 매주 진행되고 있어 장비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도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매주 월요일에는 오후 7시부터 초보자를 위한 UV프린터/레이저커터 교육을 진행하며, 목요일에는 오후 7시부터 3D프린터 교육을 실시한다. 이 밖에도 3D프린터 심화교육과 미니드론 제작 교육, 미래소식 포럼, 도내 고등학생 및 대학생들을 위한 교육도 진행되고 있다.

 이외에도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에서는 제품 홍보용 영상, 사진 촬영이 가능한 멋스튜디오도 함께 운영, 도내 (예비)창업자들의 홍보 마케팅을 지원중이다. 멋스튜디오의 카메라와 조명장치 등은 간단한 회원가입과 장비 사용신청을 통해 무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멋랩과 멋스튜디오의 이용을 원하는 사람은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를 직접 방문하거나 유선전화(031-877-2732)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관련 교육 수강 신청은 블로그(http://blog.naver.com/mhubgdca) 또는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meothub)을 통해 신청이 가능하다.

 경기도 관계자는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의 멋랩과 멋스튜디오는 도내 창업 관심자와 (예비)창업자의 성공적 창업과 창작자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공공공작소라며, “멋랩과 멋스튜디오를 통해 경기 북부의 메이커 간 교류가 늘어나고, 다양한 융합 기반 창업을 통한 북부지역 경제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