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월동철 낭충봉아부패병 등 꿀벌 질병 주의하세요!

올해 꿀벌29농가 435봉군에서 꿀벌질병 의뢰. 작년대비 4배 이상 증가

낭충봉아부패병 10, 부저병 6건 등 발생

방역관리 수칙 준수 등 각별한 주의 필요. 정밀진단 서비스 제공 등

 경기도는 월동철을 맞아 도내 양봉농가들에게 낭충봉아부패병 및 부저병 등 꿀벌 질병에 주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14일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에 따르면 올 한 해 동안 꿀벌 질병으로 연구소를 찾은 도내 양봉농가는 29곳이며 봉군(蜂群)의 수는 435통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의뢰건수인 농가 6, 봉군 103통에 비해 4배나 증가한 수치다.

 검사 결과, 낭충봉아부패병이 10, 부저병은 6, 날개불구병은 3, 석고병은 2, 여왕벌흑색병바이러스(BQCV)2, 노제마병 1건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했으며, 특히, 낭충봉아부패병은 지난해 4건보다 2배 이상 발생해 농가에 적지 않은 피해를 입힌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발생한 낭충봉아부패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유충이 번데기가 되지 못하고 말라 죽게 되는 치사율 100%2총 가축전염병으로, 지난 2010년에는 국내 토종벌의 약 77%를 폐사시키는 등 양봉 농가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질병 중 하나다.

 그 다음으로 많이 발생한 부저병은 병원균의 침투로 인해 유충이 발육 도중 썩어 죽는 제3종 가축전염병으로, 발병하게 되면 색깔이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악취가 나기 시작한다. 병원균의 종류로는 미국부저병과 유럽부저병의 2종이 있다. 이와 같은 꿀별 질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양봉농가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낭충봉아부패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발병 즉시 벌통주변·봉기구 등 봉장에 대한 소독 실시, 발생봉군 즉시 격리 및 소각, 타 지역으로 이동금지 등 방역관리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부저병의 경우 역시 발병 즉시 벌통, 양봉기구, 밀랍 등을 태워야 안전하다.

 임병규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소장은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는 낭충봉아부패병 등 12종의 꿀벌질병에 대한 정밀진단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면서, “월동준비 기간 안전한 꿀벌 관리를 위해서는 일벌들이 애벌레를 벌통 밖으로 물어내는 등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뢰해 효율적인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경기도는 오는 20162월에는 꿀벌 질병 예방을 위해 도내 양봉농가 1,300여곳에 라이프자켓, 메파티카 등 방역약품 6종 총 26,000여개를 공급 할 예정이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