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우수상품 대축제, 「G페어」 5일 화려한 개막

국내 최대 규모 중소기업 우수상품 전시회

841개사 1,133부스 참가, 2만 여 개의 실속제품 선보여

수출·구매상담회에 해외바이어 500, 국내기업 구매담당자 309명 참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중소기업 종합전시회 ‘2015 G-FAIR KOREA(대한민국 우수상품 전시회)’115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4일 간의 화려한 막을 올렸다경기도와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이하 경기중소기업센터)5일 오후 340분 고양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2015 G-FAIR KOREA’의 개막식을 개최했다.

 이날 개막식에는 경기도의회 이동화 경제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 최현덕 경기도 경제실장, 코트라, 전국중소기업지원센터협의회, 경기중소기업센터 등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올해로 18회째를 맞이하는 ‘2015 G-FAIR KOREA’는 경기도와 전국중소기업지원센터협의회가 주최하고 경기중소기업센터가 주관하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중소기업 우수상품전시회로 115일부터 8일까지 나흘간 고양 킨텍스에서 진행된다.

 이번 전시회는 생활의 모든 제품을 담다라는 슬로건답게 총 841개사 1,133부스가 참가해 생활용품, 가전, 전자·IT, 패션·뷰티, 주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2만여 점 이상의 실용도 높은 제품들을 선보이며 바이어 및 관람객들의 눈길을 끈다. 특히 올해는 경기도 스포츠·레저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스포츠산업 특별관을 구성, 관람객들이 제품을 직접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어 개막 첫날부터 많은 관심을 얻었다. 또한 ‘G-FAIR KOREA’는 참여기업의 국내외 판로개척을 지원하기 위해 개막일인 115()부터 6()까지 이틀간 수출상담회, 구매상담회도 운영한다.

 수출상담회에는 중국(157개사) 일본(31개사) 아시아 및 대양주(151개사) 북미(19개사) 러시아, 카자흐스탄(12개사) 유럽(11개사) 등 약 40개국 433개사 500여 명의 해외바이어가 참석한다. 이들은 해외 경기통상사무소(GBC)KOTRA 해외무역관(KBC), 세계한인무역협회(OKTA)의 네트워크를 통해 선정된 신뢰도 높은 바이어들이다. 또 국내 유통업체 구매상담회에는 홈쇼핑, 온라인쇼핑, 대기업 구매담당자 등 국내 MD(상품기획자) 309명이 참가한다.

 다양한 분야별 맞춤화된 수출·구매상담은 참가기업들의 실질적인 성과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되며, 개막 첫날부터 열띤 상담으로 활기를 더했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 참관객 등을 대상으로 창업아카데미’, ‘아마존 입점 전략’, ‘FTA 활용 EU시장 진출 설명회등의 세미나도 진행해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이번 전시회에는 일반 방문객들을 위한 체험 이벤트와 볼거리도 다양하다. 참가업체의 우수한 제품을 무대를 통해 볼 수 있는 우수상품 시연회와 관람객들의 참여를 이끄는 플로어컬링 경연대회’, ‘스탬프 랠리’, ‘게릴라 경품 이벤트4일 내내 펼쳐진다. 또 화려한 비보잉 퍼포먼스인 더블터치 퍼포먼스도 진행돼 관람객들의 재미를 더한다.

 최현덕 경기도 경제실장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참여기업은 새로운 판로를 확보할 수 있고, 관람객은 중소기업의 우수제품을 직접 체험하고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많은 국민들의 참여로 중소기업 우수상품이 널리 알려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행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행사 홈페이지(www.gfair.or.kr) 또는 전시 사무국(031-259-6531~8)으로 문의하면 안내 받을 수 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