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당상수원 소규모 시설 난립… 집단화로 수질 관리 필요

배출시설설치제한지역 규제 개선 등 효율적인 정책 대안 필요

팔당상수원 주변, 폐수관리 미흡한 소규모 시설은 난립하고, 기업은 규제로

투자 차질

 수도권 주민의 식수원인 팔당상수원 주변에 폐수관리가 미흡한 소규모 시설이 난립해 있으며, 과도한 규제로 기업들은 투자에 차질을 빚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기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이 4일 발간한 <수도권 식수원 보호, 풀 것은 풀고 묶을 것은 묶자> 연구보고서에 담긴 내용으로, 팔당상수원 보호를 위한 효율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팔당상수원 입지규제는 경제성장 우선정책으로 환경보전의식이 부족했던 ’70~’90년대 초반에 주로 도입됐다. ’90년대 초반까지 팔당상류지역의 하수도 보급은 전무한 실정이었으므로 도입 당시에는 입지규제가 상수원의 사전예방 관리수단으로 큰 역할을 했다.

 그러나 점차 소규모 오염원이 무분별하게 들어서면서 ’13년에는 산업폐수배출시설(4~5) 98%, 축산농가(신고미만) 70%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국립환경과학원(2015), 2013년 전국수질오염원조사), 현재까지 팔당상수원의 수질개선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다.

 소규모 시설은 대부분 영세하고,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폐수처리시설의 운영관리가 미흡한데 반해, 지도·점검 인력은 부족하여 소규모 시설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소규모 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로 팔당상수원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반면, 경기도 기업은 과도한 입지규제로 투자에 차질을 빚고 있다. 특히 특별대책지역, 자연보전권역 등 다수의 규제 중첩으로 기업들의 투자 자체가 막혀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른 투자피해규모는 1조원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경기도 146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로, 기업규제로 인한 총 투자 차질 규모 18,449억 원 중 자연보전권역 규제로 인한 규모는 12,897억 원, 상수원보호구역 규제로 인한 규모는 150억 원이다(김군수·김정훈(2014), 기업규제로 인한 경기도 투자차질의 경제적 손실)

 조영무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팔당상수원 보호를 위해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규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 첫 번째 과제가 자연보전권역의 공장용지조성사업 및 공장입지 허용면적의 개선이다. 추가적인 소규모 시설의 입지를 방지하고, 기존 시설의 집단화를 유도하여 폐수관리의 효율성을 도모함으로써 상수원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규제를 개선하자는 것이다.

 두 번째는 특정수질유해물질 배출시설 입지를 제한하는 배출시설설치제한지역의 규제 개선이다. , 원폐수 내 설정된 농도기준을 폐지하고, 현 처리기술 수준을 고려한 배출허용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함으로써 환경과 경제가 상생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자는 의미이다.

 조영무 연구위원은 경기도는 규제개선에 앞서 소규모 시설의 관리체계 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인력 충원 및 전문성 제고를 통해 지도·점검 역량을 강화하고, 처리시설 위탁관리 및 기술적 지원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