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방도 건설 3無 현상(무대책 무대포 무책임) 심각한 수준

지방도 26개소 도민 혈세 1,157억원(지방채 451억원) 투자하고 사업은 추진 중단한 상태

감사원 지적에도 모르쇠 특정사업 밀어 부치고, 낙하산식 예산 끼워넣기

경기도는 현재 지방도 건설사업과 관련 ‘경기도 지방도 타당성 재검토 및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연구 용역’을 진행 중임. 사업규모가 총 26개 사업, 총사업비 1조 5,525억원, 총연장 137Km에 이르는 방대한 규모임.

- 현재까지 26개 사업에 1,157억원이 투입된 상태인데, 이중 451억원은 지방채까지 발행해서 예산을 투입했음.

- 그런데도 사업성 및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장기간 사업이 중단 되거나 표류되어서, 지난해 행감과 예산편성 과정에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용역을 준 것임.

- 이렇게 지방도 건설 문제를 해결하고자 용역을 실시 중임에도 불구하고 경기도는 어떤 원칙과 기준도 없이 ‘15년 예산에 총 5개 사업, 36억원이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음.

※ 용역중인 사업 예산 반영 현황 : 안성시 공도-양성 20억원, 양주시 은현-봉암 5억원, 포천시 삼팔교 재가설 3억원, 파주시 문산-내포 4억원, 여주시 백석-내양 4억원

 경기도 문제점에 대한 대책마련 없이 사업 밀어붙이기, 사업 끼워넣기 하는 것은 큰 문제라고 봄 - 파주시·연천군 적성-두일 건설사업, 지난 9월 감사원 지적사항에 대한 후속대책도 없이 무조건 투자를 계속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봄. 경기도가 해결 방안을 제시해야 함에도 그렇지 못하고 내년도 예산 50억원을 편성한 것은 국가 행정 기강이 무너지는 심각한 문제임.

- 용인-포곡 도로확포장공사 상임위서 논의없이 일방적인 ‘15년 2회 추경 편성한 것도 적절치 못했음. 안성-공도 지방도 건설 ‘15년 예산도 끼워넣고 억지로 살리기, 결과는 사용 못했음 - 도지사와 같은 정당 소속에 대한 지자체에 대한 지나친 특혜 중단하고, 형평성 있는 예산 배분이 되어야 할 것임 ⇒ 경기도 건설국은 ①한정된 예산을 선택과 집중을 통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것 ②지역간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것 ③감사원 지적사항에 대한 해결대책 등을 강구할 것을 촉구함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