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공약사업으로 인해 학교교육의 질이 떨어져서야 되겠는가?

 2015년 교육복지우선지원, 특성화고교육과 과학교육활성화 등 주요사업 예산이 2013년 대비 1천억 감액되었다.

줄이고, 줄이고 또 줄여 감당한다 해도 한계 직면한 상황... 중앙정부 추가지원과 책임 필요

 경기도교육청의 교육재정 악화로 인한 경기도 학교 교육의 질적 저하가 매우 우려되고 있다. 서진웅 의원은 “경기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2015년 방과후교육지원, 교육복지우선지원, 특성화교육, 과학교육활성화 지원 등 주요 예산이 급격히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학생들의 교육에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고, 특히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북한이탈주민가정, 학교부적응 학생 등 추가적인 교육프로그램이나 재정지원이 필요한 취약계층 비율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더욱 큰 문제” 라고 지적했다.

 경기도교육청이 예산을 줄이고, 줄이고 또 줄여 감당한다 해도 한계에 직면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주요한 원인은 대통력공약사업이 누리과정예산 전액을 교육청예산으로 편성토록하여 교육재정 부담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따라서 유치원 유아교육과 어린이 보육의 질을 높이고 늘어나는 교육수요에 맞추고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교육여건과 교육환경개선을 위해 중앙정부의 지원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누리과정으로 인한 주요 감액사업 내역

단위사업명

2013예산액

2014예산액

2015예산액

‘13

대비증감

‘14

대비증감

영재교육

활성화

11,660,619

3,414,054

2,677,093

-8,246,565

-736,961

외국어교육

74,170,416

50,696,883

42,306,149

-23,473,533

-8,390,734

과학교육

활성화

9,221,234

6,197,995

4,391,617

-3,023,239

-1,806,378

특성화교육

27,682,904

24,199,827

22,065,847

-3,483,077

-2,133,980

학교정보

인프라구축

19,103,910

18,370,059

16,346,980

-724,851

-2,032,079

ICT활용교육

2,884,007

2,424,831

1,928,002

-459,176

-496,829

체육교육

내실화

51,420,125

42,680,869

36,993,558

-8,739,256

-5,687,311

학생생활지도

23,935,505

20,907,743

18,622,880

-3,027,762

-2,284,863

교과교실제

운영지원

13,478,800

1,124,000

416,400

-12,354,000

-707,600

학비지원

120,559,186

103,855,792

101,531,548

-16,703,394

-2,324,244

방과후

교육지원

93,880,179

109,103,624

89,132,800

15,223,445

-19,970,824

교육복지

우선지원

8,420,000

2,322,993

2,173,005

-6,097,007

-149,988

독서문화진흥

4,574,042

3,903,552

2,860,475

-670,490

-1,043,077

국제교육문화교류협력

1,481,114

891,140

845,375

-589,974

-45,765

교직원

역량강화

25,393,334

21,741,560

14,334,113

-3,651,774

-7,407,447

교직원복지와사기진작

26,420,967

15,649,609

13,661,446

-10,771,358

-1,988,163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