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의원, “도교육청 교직원 처우개선 설문조사에

기초한 기획연구자료” 제시

 경기도의회 교육위원회 김성태 의원(새정치연합, 광명4)1123일 경기도교육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 총괄 질의에서 교직원 처우개선 설문조사 결과 분석 자료를 활용한 기획연구를 제시하여 철저한 준비와 연구하는 의원의 자세로 눈길을 끌었다. 김의원은 행감 준비과정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낸다는 취지로 25개 지역교육청 초··고에 재직 중인 교사, 행정공무원, 교육실무사 등 50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하고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올해는 설문지를 직접 제출하였던 작년과 달리 이메일로 설문지를 수거하여 익명성을 보장함으로써 보다 더 신뢰도 높은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고 전했다.

 설문조사 결과, 교직원들의 직무만족도는 관리직이 가장 높았으며, 교육행정직은 교사 등 다른 직종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들은 학부모와 갈등 발생 시 교사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므로 교직원을 보호할 수 있는 실질적인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요청도 있었고, “소신있는 학교경영 및 교육활동을 방해하는 학부모들의 민원에 정당하게 대응할 수 있는 학교내 기구 또는 단체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개진하였다.

 또한 최근 교내 성폭력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됨에 따라 성적 수치심을 경험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5.8%가 그렇다는 응답을 하였으나, 다행히 이럴 경우 상담과 신고의 자유성에 대해서 72.5%가 보통 이상의 긍정적 응답을 주어서 열려있는 교육현장을 엿볼 수 있었다. 이날 설문조사 분석 기획연구 자료를 제시하면서 마지막으로 김성태 의원은 도교육청에 네 가지 정책적 제언을 덧붙였다.

 첫째, 민주적인 학교문화 창출을 위해서는 교육청의 정책 의지와 관리직을 비롯한 교사 등 학교공동체 구성원 모두의 공동노력이 필요하다면서 민주적 학교공동체를 위한 도교육청 차원의 정책적 노력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였다.

 둘째, 타 지역 전출 희망자에 대한 현황 파악과 조치 계획에 대해서 교육국장과 총무과장에게 질의를 통해 출퇴근 거리 문제 등 기타 학교 내 문제 등으로 인한 타 지역 전출 희망자의 유형별 사유와 현황파악을 요구하였고 이에 대한 대책마련을 촉구하였다.

 셋째, 교사들의 94.7%가 육성을 사용하고 있고 이에 따라 교사의 50.9%가 목소리에 부담을 느낀다고 응답해 이 문제에 대한 실태나 교사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대책수립을 요구하였다.

 넷째, 성적수치심 경험과 관련하여 경험한 적이 있다는 답변이 5.8%에 달하고 있고 학교내 성폭력문제에 대한 지적이 이번 행감에 많이 나왔는데 이에 대한 대책도 주문하였다.

 김성태의원은 행정사무감사 준비와 학교 현장의 업무로 바쁘신 가운데서도 설문지를 응답해 주신 선생님과 관계 공무원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설문지 한 장마다 담긴 경기교육 가족의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자세를 견지하겠다는 소감으로 기획연구 설문보고를 마무리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