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디자인 나눔으로 영세기업 매출 날개 달아요”

1~3일 도청 제3별관 로비서 2015 디자인 나눔 프로젝트 성과전시회

4개 대학 93명 참여…로고·리플렛·공간 환경개선 디자인 114종 개발

 디자인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재능기부로 ‘새 옷’을 입게 된 경기도내 영세기업들의 제품이 공개됐다.
 경기도는 1일부터 3일간 도청 제3별관 1층 로비에서 ‘2015 디자인 나눔 프로젝트’ 성과전시회를 열고 CI, 로고, 리플렛, 포장 디자인, 공간 환경개선 디자인 등 114종을 전시했다.
 ‘디자인 나눔 프로젝트’는 도내 디자인학과 학생들의 재능기부를 받아 영세기업 생산 제품 등의 디자인을 바꿔주는 사업으로, 지난 2013년 전국 최초로 도입해 3년째 이어오고 있다.
 올해는 가천대, 경희대, 한양대, 경기대 등 4개 대학교에서 학생 58명, 교수 6명 및 교수, 디자인 전문가, 대학생으로 이뤄진 자원봉사자 등 93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지난달까지 영세기업, 사회복지시설, 재가시설, 정보화마을 등 58개 업체의 패키지 디자인, 환경개선 디자인, 특산물디자인 114종 개발을 추진해 무상 양도하고, 디자인 등록 및 저작권 컨설팅도 병행했다. 특히 개발 기간 동안 3회 이상 업체를 찾아 의견을 나눠 해당 업체의 전체적인 특색을 반영한 디자인을 찾는 데 주력했다.
 임지선 한양대 시각디자인과 교수(프로젝트 총괄)는 “도내 디자인 전공 대학생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재능기부로 이어져 실전경험은 물론 사회적 역할에 대한 자부심도 갖게 됐다”고 밝혔다.
 도는 이번 전시회가 그동안 디자인 분야에 투자할 여력이 없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졌던 영세기업의 상품 가치를 높이는 것은 물론 예산절감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천시 마을기업 도나울마을 심상란 사무장은 “그동안 고구마를 담을 박스가 마땅치 않아 시중에서 판매하는 상자를 썼는데, 이번에 명품고구마 5㎏ 상자 디자인을 개발해 지역축제에서 기존보다 10배를 더 판매하는 성과를 올렸다”며 기뻐했다.
 한편, 올해 디자인 나눔 프로젝트에는 전년과 달리 복지시설 환경개선 디자인 개발과 지역 마을기업 특산물디자인 개발도 더해져 눈길을 끌었다.
 도는 사회복지시설, 마을기업 디자인개발을 맡을 교수 11명, 디자인전문가 4명, 대학생 14명으로 구성된 ‘디자인 개발 재능기부 자원봉사단’을 위촉하고 지난 5월부터 공간디자인 컨설팅, 색채 지원, 기능 보강 등을 시행해왔다.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권태욱(남서울대 2) 씨는 “재가공동생활가정에 서랍장, 선반, 식탁같은 가구를 직접 제작해 지원했다”며 “재가시설에 직접 방문해 몸이 불편한 이들을 보니까 앞으로 지속적으로 돕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전했다.
 주명걸 도 건축디자인과장은 “디자인 분야에 투자할 여력이 없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졌던 영세기업이 디자인 재능기부를 통해 상품의 가치를 높이고, 경제 활성화로도 이어지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며 “앞으로도 사회적 취약계층 경쟁력 제고와 디자인 사각지대 지원체계를 확대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