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 취임1주년 직원 대상 ‘경기연정’ 특강

공명(共鳴) 공감(共感) 민생(民生) … “화이부동”주문

연정 지속가능성 제고 위해 연정에 걸맞게 조직개편 필요

도 재정운용 연정에 맞게 업그레이드, 생활정치 구현

 이기우 경기도 사회통합부지사는 3일 취임 1주년을 맞아 오전 9시 경기도청 제1회의실에서 경기연정의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직원 소통 강좌를 갖고 지금이 경기연정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틀을 고민해야 할 적기라며, “공직자들의 적극 협조가 있어야만 연정이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부지사는 이날 특강에서 연정이 아무도 가보지 않은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정치실험이다 보니 참고할만한 로드맵이 없는 것이 현실이라면서 도민을 위한 정책이 제대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직접 업무를 추진하는 공무원들이 연정의 가치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공직자들의 적극적인 동참과 관심을 당부했다.

 이 부지사는 특히 연정이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정에 걸맞는 조직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정정신을 제대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가칭 연정 기조실신설 등 사회통합부지사를 뒷받침해 줄 실질적인 조직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부지사는 또한 연정가치가 구체적인 수치로 표현되는 것이 예산인데 올해 초유의 예산연정 과정에서 느낀 점이 많다면서, “도민을 위한 생활정치 민생연정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도의 재정운용을 연정에 맞게 업그레이드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이 부지사는 특강에서 경기연정의 핵심 가치는 생활정치를 기반으로 한 민생연정이라며 경기도민 행복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위해 연정 주체들이 서로 다름을 인정하며 조화를 이뤄나가는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부지사는 이날 특강에서 그간 사회통합부지사로서 느낀 진솔한 소회와 함께 생활임금 도입, 메르스 극복 과정, 시민사회와의 네트워크 강화, 도민참여형 거버넌스 구축, 사회적 경제를 기반으로 한 따복공동체 추진 등 그간의 연정 성과를 직원들과 공유했다.

 또한 내년 중점사업으로 보호자 없는 병동(포괄간호서비스) 도 의료원 6개 병원까지 전면 확대, 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지원센터 일원화와 전 시군 전담인력 배치, 마을 육아공동체를 희망하는 모든 시군까지 전면 확대, 사회복지사 처우개선을 통한 현장의 서비스 질 향상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특강에서는 연정에 대한 비판과 제언이 담긴 여야 국회의원들의 국정감사 질의, 대학교수 등 전문가의 조언 등이 담긴 동영상이 눈길을 끌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