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감염병관리 종합계획 발표… 인프라 확충에 무게

메르스 통해 드러난 문제점 개선 위해 19개 과제에 281억 원 투입

감염병관리 인프라 확충

- 도 의료원 격리치료(음압병상) : 2019년까지 90병상으로 확충

- 국가격리치료병원 : 2개소 3개소 확대

감염관리 조직인력 보강

- 경기도 감염병관리 컨트롤타워(감염병관리과) 신설 추진

- 권역별 역학조사기동팀 운영 : 4개팀 11

- 도 의료원 감염관리 총괄 책임자(감염내과 전문의) 채용

감염병 위기대응 상시소통 시스템 구축

- 감염병 대응 민관협력위원회 운영 : 민간,공공병원, 감염전문가 등 14

- 감염병 정보소통 및 감시시스템 구축

- 심리회복(레질리언스) 프로그램 운영

병원 감염환경 개선

- 도 의료원 포괄간호 서비스 시행

- 의료기관 감염관리지원단 신설

 경기도는 감염병 대응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는 내용을 담은 경기도 감염병관리 종합계획발표했다.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는 22() 오후, 브리핑을 통해 메르스 종식(12.23)에 맞춰 감염병 종합관리를 위한 4개 분야 19개 과제에 총 281억 원을 투입해 신종 감염병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종합계획에는 메르스 상황을 겪으며 드러난 문제점인 격리치료시설 부족, 역학조사 등 감염관리 전문인력 부족, 감염병 위기·대응 소통 시스템 부재, 취약한 병원감염 환경 등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담았다.

 우선 167억 원을 투입해 격리치료시설 등 감염병 관리 및 격리치료 인프라를 대폭 확충한다. 도는 현재 29병상(공공 19, 민간 10)인 음압병상을 2019년까지 도 의료원 90병상, 민간병원 29병상 등 총 119병상으로 확충할 방침이다. 도 의료원에는 14억 원을 들여 감염병 관리장비 4종도 확보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17억 원을 투입해 51개 의료기관에 선별진료소를 설치하고, 보건소에는 격벽구급차(27/ 27억 원)과 감염관리 장비(31억 원)을 지원한다. 또한 보건환경연구원에는 신종감염병 진단능력 보강과 감염병실험실 보강을 위해 23억 원을 투입해 진단 및 관리체계를 개선키로 했다.

 지방정부의 감염병 조직을 보강하기 위하여 감염병관리 콘트롤타워 역할을 맡을 감염병관리과 신설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권역별 역학조사 기동팀(4개팀 11) 운영, 도 의료원 감염관리 총괄 책임자(감염내과 전문의) 채용, 보건소역학조사반 역량강화 프로그램 상시 운영 등 전문인력도 양성하기로 했다.

 감염병 위기 대응과 상시 소통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메르스 상황 종식에 크게 기여한 민관협력위원회를 민간과 공공병원을 비롯해 감염병 전문가 등 14인으로 구성해 상시 운영하기로 했다.또한 도민소통채널, 신종감염병 감시 및 예보 체계 구축, 시군별 감염병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도 마련키로 했으며, 향후 신종감염병 발생 시 도민 공포감을 줄이고 심리적 안정을 위한 심리회복(Resilience)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메르스 상황에서 여실히 드러난 우리나라 병원의 취약한 병원 감염환경 개선도 추진한다. 도는 도 의료원 6개 병원 대상 포괄간호서비스 시행하는 한편, 감염관리 시설을 개선하고 간호인력도 108명을 추가 확보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의료기관 감염관리지원단을 신설하고 도내 의료기관과 협력하여 병원 감염환경을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신종감염병의 선제적 예방을 위해 시군 방역약품 지원과 예방 홍보 등 지역사회 감염예방사업에도 79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 129일 도, 시군 상생토론회를 통해 감염병 발생 시 31개 시군과 소통을 통한 협력을 강화해 나가는 내용의 공동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는 종합계획 4개 분야 19개 과제의 차질 없는 시행을 위해 민관협력위원회 상시 점검회의를 통해 추진과정을 꼼꼼히 점검하고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경기도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