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복완 경기도 행정 2부지사,“섬유산업 중장기 발전방향 고민해야”

한국섬유소재연구원 방문 시설 현황 청취 및 현장 점검 실시

 양복완 경기도 행정 2부지사가 섬유산업의 중장기 발전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20일 경기도에 따르면 양복완 부지사는 이날 오전 1020분 양주 소재 한국섬유소재연구원을 방문해, 김숙래 원장으로부터 현황을 청취하고, 이와 같은 뜻을 밝혔다.

 이날 양 부지사가 방문한 한국섬유소재원은 경기북부지역 섬유산업의 기술력 향상과 국제 경쟁력 강화, 관련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05년 설립한 섬유전문기관으로, 현재 석·박사급 인력 20명을 포함한 50명의 인원이 이곳에서 근무하고 있다.

 주요 기능으로 애로기술지원 및 컨설팅, 시제품 생산 지원 및 분석, 연구개발(R&D) 사업,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등을 실시해왔다. 특히, 2010년에는 경기도 니트산업의 지역공동브랜드인 ‘G-Knit’를 런칭(Launching)했고, 이후 세계최초로 Cell 3 가공, ECOROOM 염색 등 섬유 신소재 기술 개발에 성공, 지난해 7‘2015 G-KNIT 그린신소재 발표회를 통해 선보인 바 있다.

 현재 경기도와 한국섬유소재원은 그린 신소재의 보급·확산이 2021년까지 완료되면 약 500억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양복완 부지사는 전국 니트 업체의 54.5%가 경기도에 소재해 있고, 특히 경기 북부는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니트 산업의 메카로 알려져 있다.”면서, “그만큼 R&D나 기술지원 등을 담당하는 한국섬유소재연구원의 역할이 크다.”고 강조했다. 양 부시자는 이어서 앞으로 섬유산업의 중장기 발전방향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면서, “특히, 미래 섬유산업을 이끌어 갈 마스터플랜을 수립해야한다. 경기도 역시 적극 돕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