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도로 64만7천 명 이동… 하루 평균 260명 증가

화성, 하남, 고양 등 택지개발지구 중심으로 인구이동 늘어

 지난 한 해 동안 인구 이동으로 인한 경기도 인구 증가 규모가 95천명으로 전국 최다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경기도가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다른 시도에서 경기도로 이동한 인구는 647천 명으로 경기도에서 다른 시도로 떠난 552천 명 보다 95천 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하루 평균 경기도 인구가 260명씩 증가한 셈이며, 2014년 하루 평균 순증가 인구 157명보다 65.1% 높은 수치다.

 경기도로 가장 많이 이동한 지역은 서울이 35933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인천 66353, 충남 33277명 순이었다. 반대로 경기도민이 가장 많이 이동한 지역은 서울시가 239557, 인천시가 71513, 충남 37791명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인구가 대거 이동한 이유로 도는 서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주택가격과 신도시 개발호재, 교통망 확충 등을 꼽았다. 전월세 가격 상승으로 교통 여건이 나쁘지 않으면서도 주거비용이 낮은 경기도로의 이동이 많았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시군별 순유입 인구를 살펴보면 화성시가 51천 명, 하남·고양시가 17천 명, 남양주시가 14천 명으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 화성시는 동탄2신도시와 향남지구, 하남시는 미사위례지구, 고양시 삼송지구, 남양주시 별내지구 등의 택지개발로 입주가 진행된 곳이다.

 반대로 재건축과 구시가지 재개발 등이 진행된 안산(14천 명), 부천(11천 명), 성남(9천 명) 등은 순유출이 가장 많이 일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순이동 이유로는 주택문제가 78.1%로 가장 높았고, 가족문제가 21.3%로 뒤를 이었다. 주택문제는 내 집 마련, 전월세 계약만료, 재개발 등, 가족문제는 결혼, 이혼, 분가 등을 말한다. 연령대별 이동인구를 살펴보면 30대가 22.6%, 20대 이상 17.3%, 40대가 16.6% 순으로 나타났다.

 이재철 경기도 정책기획관은 이번 분석 결과는 향후 주택 등 관련 정책수립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