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대학 구내음식점, 식품안전 불감증 ‘위험 수위’

학교 및 주변음식점 등 187개소 단속, 52개소 적발 수사 중

 경기도내 일부 대학 구내음식점이 수년간 미신고 영업을 하거나, 급식재료로 사용하는 배추김치 등의 원산지를 속이다가 적발되는 등 대학가 먹을거리 안전 불감증이 위험한 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은 개학기를 맞아 지난 33일부터 9일까지 학교 및 주변 매점, 구내식당과 연계된 유통·제조업소 등 187개 업소를 점검하고 식품위생법 등을 위반한 총 52개 업체를 적발해 수사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이들은 무신고 식품 제조 및 판매 (14), 유통기한 변조·경과제품 사용 및 판매(19), 원산지 거짓표시(8), 기타 영업자 준수사항(11) 등을 위반해 단속됐다.

 도 특사경은 단속현장에서 불량제품 5.6톤을 압류 조치해 시중 유통을 사전에 차단했으며, 식품 규격미달 의심제품 24건을 수거해 검사기관에 의뢰했다이 가운데 수원시 소재 A대학교 내 커피전문점 B업소 등 3개소는 대학교와 임대계약한 후 20139월 경부터 현재까지 관할관청에 식품위생법 제37조 규정에 의한 휴게음식점 신고를 득하지 않고 영업하다가 적발됐다. 이 업소는 산학협력센터, 정보관, 기숙사 건물에 조리실을 갖추고 커피머신, 냉장고, 싱크대 등과 테이블 4인기준 16개 등 객석을 구분 설치하여 종업원 410명을 고용, 26개월 동안 각각 약 6억 원 이상의 원두커피, 피자, 음료수 등 음식을 판매했다.

 화성시 소재 B대학교 내 C편의점에서는 유통기한이 경과한 빵과 라면 등 8개 제품을 진열대 및 영업장에서 판매 목적으로 보관하다 적발됐다. 용인시 소재 D대학교 내 E일반음식점은 주방 내 냉장고, 선반 등에 유통기한이 20111124일까지인 후춧가루 등 4개 제품 약 4을 조리 및 판매를 목적으로 보관하다 함께 적발됐다시흥시 소재 F대학교 G위탁급식업소는 20162월과 3, 2차례에 걸쳐 중국산 맛김치를 구입·판매하면서 국산으로 거짓 표시하다 적발됐다안산시 소재 H고등학교 I위탁급식업소는 2015년부터 총 7차례에 걸쳐 조리식품을 판매하면서 태국산 닭고기를 국산으로 원산지를 거짓 표시하다가 덜미를 잡혔다수원시 소재 J축산물판매업소는 도로상에 주차된 축산물 운반차량에서 도축된 돼지 2마리 중 1마리를 해체 작업하다 축산물위생관리법 위반으로 적발됐다.

 도 특사경 관계자는 개학기를 맞아 부정 불량식품으로 인해 학생들이 건강을 해칠 수 있어 집중단속을 실시했다.”앞으로도 안전한 식품이 공급될 수 있도록 단속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