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출산! 국가적 재앙으로 돌아올 수도!

안상정의 안성마춤 편지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3개 대륙에 걸친 광활한 영토를 호령했던 로마제국은 적수가 없었습니다. 그런 로마제국이 왜 멸망했는지 명확한 정답을 찾기는 어렵지만, 학자들 사이에 공통적으로 제기되는 것은 ‘인구감소’입니다. 특히 영국의 유명한 역사학자 에드워드 기번은 ‘로마제국 쇠망사’에서 인구감소가 제국의 ‘야만국화’를 촉진시켰다고 주장합니다. 게르만족 같은 야만족이 군대 등에 대거 유입되면서 제국의 지배력을 약화시켰고, 결국 멸망으로 치닫게 됐다는 것입니다.

 왜 인구감소가 지속적으로 진행됐는지에 대해서도 학설이 많습니다. 납으로 된 상수도관, 식기 등을 상용해서 납중독이 만연했고, 그것이 남녀 모두의 생식능력을 저하시켰다는 학설이 있습니다. 잦은 전쟁과 전염병 때문이라는 학설, 출산장려책을 쓸 만큼 아이 낳기를 싫어하는 풍조가 성행했다는 학설도 있습니다. 한 때 문명세계의 절반을 점령했던 몽골제국이 갑자기 쇠퇴한 이유도 인구감소라고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당시 세계를 휩쓸었던 흑사병으로 100만 명 남짓했던 몽골족의 절반 가까이가 사망했다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제국의 근간인 군사력이 약화되어 분열이 가속됐고,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한 동서양간 무역권이 붕괴되고 말았다는 것입니다.

 최근 발표에 의하면 우리나라 평균 출산율이 1.22명으로 세계185개국 중 184위를 기록했습니다. 185위는 평균 출산율 1.21명으로 유럽 발칸반도 서부에 위치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가 차지했습니다. 이 나라는 1인당 국민소득이 4천 달러가 안 되고 전체인구가 500만 명이 안 되는 전형적인 약소국입니다. 더구나 몇 년 전 5년간이나 내전을 치렀다는 점 등 상황이 우리나라와는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결국 사실상 출산율 세계 꼴찌는 우리 대한민국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됩니다. 어쩌다가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첫 번째로 아이 낳기를 한사코 기피하는 나라가 됐는지 한숨부터 나옵니다. 지금의 추세가 계속된다면 대한민국은 정말 지도에나 존재하는 ‘유령국가’로 전락할지도 모릅니다. 저 출산은 고령화를 심화시키고, 필연적으로 경제력과 군사력의 약화를 초래할 것이 불을 보듯 뻔합니다.

 요즘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자치단체가 앞 다투어 무상보육을 확대하고 장려금을 제공하는 등 ‘출산인센티브’ 제도를 강력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단히 바람직한 노력입니다. 프랑스의 경우 다양한 출산장려정책으로 1995년 1.71까지 떨어졌던 출산율을 2006년 2.0까지 올렸습니다. 하지만 정책만으로 고질적인 저 출산 추세를 잠재우기는 역부족입니다. 국민의식의 일대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문화예술, 교육, 종교 등 모든 분야에서 출산을 장려하는 범국민적인 운동이 적극 전개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지금처럼 문화예술인, 교육자, 종교인 등의 역할이 중요한 적이 없지 않았나 싶습니다.

 저 출산! 그냥 내버려두면 머지않아 국가적 재앙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