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국비 11조6천억 원 확보

지난해 보다 5천억 늘어난 사상 최대

 경기도가 지난 3일 새벽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17년도 예산안을 분석한 결과, 국비확보액이 2년 연속 11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도에 따르면 경기도의 국비확보액은 총 116,248억 원으로 사상 첫 국비 확보액 11조를 돌파했던 지난해 11952억 원보다 5,296억 원(4.8%) 늘어난 규모다2017년도 당초 정부예산안 96,365억 원보다 19,883억 원이 추가로 반영됐다.

 국회예산 심의과정에서 정부예산안 보다 증액된 주요사업은 수원발KTX 33억 원(10억 원) 진접선 복선전철 1,030억 원(63억 원) 서해선 복선전철 5,883억 원(650억 원) 포승~평택 단선철도 126억 원(30억 원) 토당~원당~관산 도로건설 157억 원(147억 원) 한국폴리텍대학 경기북부캠퍼스 건립 22억 원(10억 원) G-Next(게임산업 육성) 추진 25억 원(5억 원) 등이다.

 정부예산안에는 미반영 됐으나 국회에서 신규 반영된 주요사업은 인덕원~수원 복선전철 163억 원 청북IC~요당IC 도로개설 5억 원 수도권광역급행철도(일산~삼성) 50억 원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둘레길 조성 1억 원 등이다.

 주요 분야별 성과를 보면 SOC 분야에서는 보상비를 지원받지 못해 사업추진이 어려웠던 국도대체우회도로 3개 구간의 보상비 162억 원을 확보했고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이 신규 반영된 철도관련 예산 17,200억 원을 확보했다.

 일자리 창출 분야에서는 글로벌 혁신 생태계 조성 311, 판교 창조경제밸리 327억 원, 평택 고덕산단 공업용수도(166억 원)와 진입도로(137억 원) 건설 등 총 303억 원, 평택항 국제여객부두 조성 250억 원 등이 확보됐다.

 사업의 내실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올해 국비사업은 총 1,156건으로 전년대비 292건이 증가했다. 이 중 도시군 시행사업 증가건수가 260건에 달해 경기도가 정부에 제안한 사업들이 대거 수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지난 8월과 10월 각각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과 예산 정책협의회를 열고 국비지원을 요청한 바 있다. , 이재율 행정1부지사와 양복완 행정2부지사, 강득구 연정부지사도 총 7차례에 걸쳐 국회를 찾아 국비 지원을 건의했다.

 오병권 경기도 기획조정실장은 경기도가 2년 연속 11조 원 이상의 국비를 확보한 것은 남경필 지사와 전 직원이 끊임없이 국회와 중앙부처를 설득한 결과이자 김현미 예결위원장을 포함한 도내 국회의원들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라며 도민의 최대 관심사인 수도권 도로, 철도 등 교통 인프라와 일자리 창출 분야 예산이 정부안보다 추가로 확보된 만큼 민선 6기 경기도가 진행하는 주요사업을 본격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학교용지부담금 개인환급금 보전 관련 예산은 교육부와 지자체의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해 ‘2017년도 예산안에는 반영되지 않았으나 향후 사실관계 검증에 따른 후속조치가 예정돼 있어 추가적인 국비확보가 기대된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