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 추진으로 미세먼지 줄었다’

안성시, 자체 특화된 저감사업 추진, 산림청 200억 도시바람길 사업비 선정

 안성시가 지난해 추진한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 시행 결과, 미세먼지가 줄었다고 밝혔다.

 안성시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2018년 33㎍/㎥, 2019년 28㎍/㎥, 2020년 24㎍/㎥, 2021년에는 23㎍/㎥로 점차 개선되고 있다. ‘나쁨’ 일수도 2018년 120일, 2019년 85일, 2020년 71일, 2021년 67일로 눈에 띄게 개선됐다.

 안성시는 2018년 기준 초미세먼지 ‘나쁨’ 초과 일수가 120일로 관측돼 미세먼지 최악 오염지역이라는 결과로 시민들에게 큰 걱정을 안긴 적이 있다. 이에 이러한 오명을 벗고자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개년 계획, 초미세먼지 농도 약 20% 저감(‘19년 28㎍/㎥ → ‘22년 22㎍/㎥) 목표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을 수립해 추진해 오고 있다.

 시는 미세먼지 발생원인을 크게 외부요인과 내부요인으로 나눠 내부요인으로는 30~50%, 외부요인으로는 50~70%로 추정하고 있다. 내부요인 저감을 위해 현재까지 총 913대 저공해차 보급을 지원했으며 2025년까지 3,000대의 저공해차를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도로 노면청소를 위한 살수차를 운영하고 있으며 수소충전소 설치, 미세먼지 쉼터 설치, 대기오염측정소 확충, 미세먼지 신호등 설치, 미세먼지 마스크 자판기 설치운영 등 기반시설 확충으로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는 국도비 보조사업이 아닌 자체사업으로 안성시만의 특화된 미세먼지 저감사업을 추진했으며, 학교 등 10개소에 공기정화식물 수직정원 조성, 경로당 등 취약시설 46개소에 미세먼지 차단 방진망 설치, 버스정류장 미세먼지 저감장치 28개소 설치, 공도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 공도 미세먼지 청정 특화거리 조성, 청사 출입구 에어샤워(공기정화장치) 5개소 설치를 완료했다.

 올해도 미세먼지 계절관리기간에 도로 노면청소를 위해 분진흡입차를 도입하여 운영하는 등 미세먼지 저감 특화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총사업비 200억원의 미세먼지 도시바람길숲 사업이 산림청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올해부터 2025년까지 추진할 계획으로 바람길숲이 조성되면 서쪽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고 도심외곽 산림에서 만들어지는 맑은 공기를 도심으로 끌어들여 대기순환을 통한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과 도심내 열기를 외부로 배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중앙정부 및 인근 지자체와 공동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미세먼지 정책 설문조사로 시민 의견을 수렴해 개선해 나감으로써 시민이 원하는 정책을 수립하고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