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의 독립운동가 ‘홍언’선생

미주 민족 운동의 파수꾼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미주 한인합성신보, 신한민보의 주필 및 홍사단에서 활동하면서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부회장으로 교민사회의 지도적 역활을 해 았을 뿐만 아니라 독립운동 자금을 모아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한 홍언 선생을 7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선생은 일제 강점기 미주한인사회의 민족운동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선생이 사망한 뒤 미주사회에서는 선생의 고결하고 참된 애국자이며 평생을 우리의 문화향상과 사회와 국가에 대한 모든 것을 솔직하게 비판한 작가·시인·평론가로 평가하고 자신의 모든 사생활을 희생한 인물로 기억했다.

 선생의 본명은 홍종표로 서울에서 태어나 한학을 수학하고 일시 중국을 다녀온 뒤 1904년 하와이로 이민했다. 1910년 이전에는 하와이에서 여러 여론매체와 주필로, 그리고 1911년 이후에는 미주 본토에서 대한인국민회의 기관지인 신한민보의 편집과 기고가로 수십 년 봉사했다.

 또한 선생은 신한민보동해수부등의 필명으로 시·시조·소설·의곡·전기·수필 등 다양한 장르에서 수백 편을 발표하는 등 언론가 이자 작가로 활동 했다.

 선생은 대한인국민회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직임을 맡았으며 홍사단의 창립단우로 홍사단 활동에도 열심이었으며 미주한인사회에서 한국독립운동을 위해 한인 단체를 주도하거나 재정지원을 한 인물들도 많지만 문필로 그만큼 공헌한 인물을 찾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여러 차례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와 페루 등 중남미를 순방해 화교들에게 한국독립운동 지원금을 모집하는 등 한중연대에 징검다리 역할을 해 만보산 사건 당시 그러한 선생의 노력이 크게 부각되었다.

 선생은 무엇보다도 미주 한인단체인 국민회 역사의 정리에 심혈을 기울였고 비록 완성되지는 못했지만 선생이 신한민보1944년부터 1년간 국민회 약신50여회 연재했고 1949년에도 다시 연재를 시도한 것으로 짐작되는 일이 있는데 이는 이미 1910년부터 선생은 국민회 역사의 정리를 시작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선생의 다양한 활동은 미주 한인사회와 민족운동의 파수꾼 역할을 했다고 평가된다.

 1951년 별세 후 선생은 로스엔젤레스 로즈데일문주에 안장되었으며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후서 했다.

 


지역

더보기
최호섭 시의회 운영위원장, 24번째 찾아가는 민원 신문고 개최
최호섭 안성시의회 운영위원장이 지난 16일 금광면 하늘전망대 주차장에서 제24번째 ‘찾아가는 민원 신문고’를 개최했다. 이번 민원 신문고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하늘전망대의 실태를 점검하고, 방문객들의 불편 사항을 직접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갑작스러운 추위와 눈이 내리는 궂은 날씨 속에서도 500여 명의 방문객이 하늘전망대를 찾았다. 평소 주말이면 2,000여 명이 찾는 인기 관광지지만, 기상 악화로 인해 방문객 수가 줄어든 상황이었다. 행사에는 최호섭 운영위원장과 함께 안정열 안성시의회 의장, 정천식 부의장도 참석해 방문객들의 목소리를 경청했다. 성남시에서 방문한 한 관광객은 “장애인 주차장에 쌓인 눈이 방치되어 얼음덩이로 변한 모습을 보고 크게 실망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하늘전망대 안내소 직원들의 불친절한 응대도 도마 위에 올랐다. 방문객들은 안내소에서 불편 사항을 호소하면 시청에 직접 연락하라는 답변을 받았고, 한 방문객이 화장실에 따뜻한 물이 나오지 않는 이유를 묻자, 직원이 “국립공원 화장실에는 법적으로 따뜻한 물이 나오면 안 된다”고 답해 방문객을 당황케 했고, 또다른 방문객들은 안내소에 실제 정수기가 있지만 컵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