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는 대규모 폭설로 공장 캐노피 지붕과 천막 붕괴로 2명이 사망하고, 창고 붕괴로 6명의 부상자가 발생했고 공공시설 25곳, 사유시설 5천 813개 소 등 곳곳에서 1급 재난 수준의 큰 피해가 발생, 제대로 된 피해 상황을 집계하지 못할 만큼 피해가 컸다.
지난달 27일부터 2일간 역대급 눈 폭탄이 최고 73cm를 기록 될 정도로 안성지역을 덮치면서 시설농가 채소와 인삼 등 비가림 시설 1천126ha 가운데 약 28%에 해당하는 316ha가 피해를 입었고, 철거비용만도 146억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축산농가의 경우 전체 1천815 농가 중 31% 해당하는 570여 농가가 피해를 본 것으로 추산되는 가운데 긴급 피해 복구에 필요한 예산이 21억원 머물고 이와 함께 관내 공공시설 중 체육시설인 야구장과 테니스장, 족구장 등을 비롯해 도로 등 총 13곳에서 피해가 속출, 83여억원 피해가 발생, 전체 피해약이 무려 2천86여억원에 이를 정도다.
안성시는 긴급 제설 작업과 응급복구에 나섰지만 열악한 안성시 제정여건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상태이며, 이번 폭설로 시설 하우스와 포도 비가림, 인삼 재배시설 등 농업 시설을 비롯해 소와 돼지 등을 사육하는 축산 시설이 집중적으로 피해를 입어 농민들의 생계유지와 일상생활의 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면서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신속한 지정을 건의했다.
하루도 쉴 틈 없이 복구 작업에 참여하고 있는 김보라 시장은 “유례없는 폭설로 관내 전역에서 피해가 발생해 복구 작업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시차원의 재정 및 행정력 역량을 초과 한 상황이며, 폭설 피해를 신속하게 수습하고, 시민들의 빠른 일상 복귀를 위해 그 어느 때 보나 국가적 지원이 절실하다”며 “많은 지역민들이 폭설로 삶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재난지역 선포가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갰다”고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안성시는 특별재난지역 선포 기준인 122억5천만원을 훌쩍 넘겨 선포 요건을 충족한 상태지만 신청한 지 10여일이 경과했지만 아직 갑갑한 상태다. 몸달은 김 시장은 폭설피해와 관련해 안성을 방문한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위시해 이한경 행정안정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에게 재차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건의했다.
윤종군 국회의원 한 지자체만 선포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자 인근 평택, 용인 지역 민주당 의원 8명과 함께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특별재난지역 신속 선포와 긴급지원 확대 촉구합니다’ 제목의 성명서에서 “지난 11월 27일부터 29일 사이 안성, 용인, 평택 등 경기남부권 일대에 짧은 시간에 내린 최고 70cm의 폭설로 큰 피해가 발생했으며, 어느덧 폭설 피해 1주일째, 수천 동의 비닐하우스와 축사가 무너져 오랫동안 키워온 소중한 작물과 가축을 한꺼번에 잃은 농축산 농가의 마음은 타들어 가고 있고, 대기업의 가축을 위탁받아 키워원 ‘위탁농가’의 경우에는 폐사한 가축값까지 물어야 하는 이중고로 형언하기 힘든 삶을 영위하고 있는 실정이다.”지적하고 “몇 년을 키워 온 수만 평의 인삼밭이 수십 센티미터의 습설에 쑥대밭이 되었고, 1주일이면 출하할 수 있었던 딸기밭도 처참하게 망가졌고, 멀쩡하던 공장 지붕이 무너지고 수많은 중소기업이 폭설로 인해 크고 작은 피해를 입는 등 지역의 민생경제가 휘청거릴 지경이다.
육교 캐노피, 체육관 지붕, 도로 등 시민들이 이용하는 공공시설도 이루 말할 수 없는 피해를 입었지만, 재정이 열악한 자치단체 형편상 응급복구는 더디고 막막하기만 하다.
이들 지역에서 폭설로 입은 피해액은 도합 수천억 원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응급 복구 지원 등 중앙 정부의 관심과 지원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1일에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남부 폭설피해 현장을 차례로 찾았고 2일에는 국회의원 50명이 특별재난지역 신속 지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으며, 3일에는 국회 행안위 신정훈 위원장과 행안위원들이 경기남부 폭설피해 지역을 방문했다.
물론, 정부에서도 행안부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안성 등 폭설피해 현장을 찾아 주민을 위로하고 지원을 약속했지만 아직까지 특별재난지역 지정 등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은 없는 것이 사실로 안성, 용인, 평택 등 폭설피해 지역을 대표하는 국회의원들은 중앙정부에 경기남부권 폭설피해 지역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신속 지정을 다시 한 번 절박하게 호소하며, 시설철거 등 응급복구를 위해 ‘재해구호기금’, ‘재난안정기금’ 등 가용한 지원금의 추가 교부를 요청했다.
또한, 정책자금 융자 상환기간 연장, 이자 감면, 긴급경영자금 심사기준 완화 등 가능한 모든 방안을 강구해 피해 주민이 하루빨리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정부가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세심하게 지원에 임해줄 것”을 간곡히 요청했다.
한편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지자체 복구비의 일부를 국고로 추가지원 받게 되며 건강보험료 경감, 통신, 전기 감면 등 15개 항목 추가 지원받게 된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