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진의 食의학⑦>

겨울의 종합 비타민 감

정경진한의원 원장/사단법인경기도한의사회장

 

 감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 고자 합니다. 시골의 어느 집을 가보더라도 감나무와 대추나무를 종종 목격할 수 가 있습니다. 필자는 언젠가 하필이면 왜 감나무와 대추 나무인지를 생각해 본적이 있었습니다. 알게 된 순간 저는 유레카를 외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대추나무의 대추는 한약처방에 거의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약재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여성의 불면이나 신경피로에 쓰이곤 하는 약재이기도 하구요. 이렇게 자주 이용하는 대추의 쓰임새를 볼 때 정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정 상비약이 아닐까 생각해 봅 니다.

 감은 이보다 더욱 다양 게 쓰이곤 합니다. 감꼭지를 가지고 약을 쓰기도 하고 곶감의 겉에 붙어있는 하얀 가 루를 약에 쓰기도 합니다. 물론 감은 물론이거니와 감 잎차도 많은 질환에 응용됩니다. 이렇게 감은 어느 하 나 버릴것이 없는 민족의 전통적인 과실입니다.

 감의 효능을 한 번 보자면 여느 과일보다 비타민이 많이 들어있는 과일입니다. 비타민의 보고라 할 만큼 추운 겨울을 지내기 위한 필수적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감기예방이나 피로회복 그리고 노화방지에 탁월한 과실 이기도 합니다. 떫은맛이 가지는 수렴성이 설사나 배탈을 치료하기도 하구요. 섬유질이 풍부하여 변비를 예방 할 수도 있습니다. 혹 탄닌의 성분 때문에 변비를 일으키기도 하는데 변비를 예방하기도 한다는 사 실도 알아두었으면 합니다. 감이나 감잎차를 상시 복용 하게 되면 혈압이나 혈당관리도 가능할 수 있다는 연구 보고가 있는 걸로 봐서 혈관 질환이나 성인병질환에도 좋은 효과가 있으리라 생각 합니다. 소화도 용이하고 칼로리도 적으면서 비타민 등 미네랄이 풍부하여 추운 겨울철 자신의 몸과 마음을 지키는 중요한 영양자원이자 종합비타민 역할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약이 없었던 그 옛날 그 시절, 아니 우리몸에 필요한 물질을 자연에서 얻어가는 생태친화적인 의학에 적응, 진화한 시스템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우리 몸을 위한 감과 우리 마음을 위한 대추가 이렇게 가정에서 필수적 인 역할을 한다는 선조들의 지혜가 새삼 그리워지기도 합니다. 자연에서 얻는 귀한 물질들이 이제는 공장에서 얻어지고 물과 공기처럼 향유되었던 그 무엇들이 이제는 상품이 되어 사고 팔리는 신세로 전락하고 만 것이죠.

 새로운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지만 그 물질 안에 들어있는 영혼은 이제 한낱 귀찮고 거추장스러운 존재로 치환 되어 감사와 고마움이란 인간의 보편적 가치마저도 무시되고 쿨한 세상에 편입되어 각자가 분절되게 살아가  있는 거겠지요. 그 옛날 추억이 돈으로 살 수 없는 것 처럼 보이지만 지금은 체험여행이라는 형태로 부활하고, 시골의 어느 냇가에서 볼 수 있었던 고기잡이가 하나의 상술로 재배치되는 세상에서 감과 대추가 가지는 의미가 모든 것이 연결되고 순환한다는 생태시스템으로 전환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새삼느끼곤합니다.

 과음한 다음날 숙취해소를 위하여 감을 복용하면 술이 깨기도 하며 이뇨작용을 돕기도 합니다. 딸꾹질이 멈 추지 않을 때나 어린이들이 밤에 오줌을 싸는 경우라면 감꼭지를 다려 먹으면 효과가 있습니다. 더구나 감 과육보다 껍질에는 미네랄이 더 많이 들어있고 암 등을 유발하는 활성산소를 억제 하는 성분이 많이 들어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떫은 감은 변비가 있 는 분들에게는 적당치 않습니다. 소화기능이 약한 분들도 피해야 하고요. 철이 결핍된 빈혈환자는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명심해야만 합니다.

 가을과 겨울철의 종합 비타민제인 감을 자주 먹음으로써 추위와 피로를 예방하고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겠습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