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선제적인 쌀 시장격리조치를 조속히 시행해야 한다

대북 쌀 차관 지원 등을 포함한 실질적인 수급·가격안정 대책을 즉각 시행하라

 1014일 통계청이 발표한 9.15 작황조사 결과, 올해 쌀 생산량은 4258천톤으로 전년 대비

0.4% 증가하였다. 벼 재배면적이 80ha 미만으로 줄었음에도 병충해·풍수해가 없어 10a 당 생

산량이 533kg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현장 농업인들은 풍년의 기쁨은커녕 연일 폭락하는 쌀값으

로 고통받고 있다. 민간 도정업자는 물론 농협 RPC마저 매입가를 낮게 부르고 있어, 정부 공공

비축미 우선지급금이 40kg 조곡 한 포대 당 52천원으로 결정되었음에도 남부 지방의 경우

조곡 가격이 45천원대 이하로 내려가는 사례까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쌀 수급안정 추진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나,

구체적인 정책이 제시되지 못하는 가운데 산지 시장의 불안과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정부의 선

제적인 대책 제시와 실천이 있어야만 빠른 시간 내에 시장이 안정될 수 있으며, 5천만 국민의

주식인 쌀의 생산기반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한농연은 분명하게 지적하는 바이다.

 무엇보다도 국내 소비량 약 400만톤을 넘어서는 258천톤에 대해서는 공공비축미 39만톤과는

별도로 시장격리조치를 조속히 시행해 줄 것을 주문한다. 나아가 공공비축미의 매입량과 운용

규모를 늘리고, 농협 RPC 등의 매입 능력을 확충할 수 있게끔 무이자자금 지원 등의 조치를 신

속히 추진해 줄 것을 한농연은 강력히 촉구한다.

 특히 재고쌀에 대한 대북 차관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전향적인 자세로 나설 것을 촉

구한다. 108일 국회 농식품위가 대북 쌀 지원을 포함한 쌀 격리 확대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

였으며,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분석 결과를 보더라도 40만톤의 쌀을 북한에 지원할 경우 쌀 80kg

한 가마 당 가격이 7~8천원 상승함은 물론, 140만톤이 넘는 재고 쌀 관리를 위해 작년에 정부가

지출했던 1,824억원의 관리비용도 상당 부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쌀 수확기가 끝나는 11월 초·중순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수확기 쌀값 및 수급안정을 위

한 실효성 있는 정부 대책이 조기에 나와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루가 다르게 폭락하는

쌀값 때문에 고통받고 있는 현장 농업인의 애끓는 절규에 정부가 책임 있게 화답해 줄 것을 한농

연은 다시 한 번 강력히 촉구한다.

20151015

사단법인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지역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