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선제적인 쌀 시장격리조치를 조속히 시행해야 한다

대북 쌀 차관 지원 등을 포함한 실질적인 수급·가격안정 대책을 즉각 시행하라

 1014일 통계청이 발표한 9.15 작황조사 결과, 올해 쌀 생산량은 4258천톤으로 전년 대비

0.4% 증가하였다. 벼 재배면적이 80ha 미만으로 줄었음에도 병충해·풍수해가 없어 10a 당 생

산량이 533kg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현장 농업인들은 풍년의 기쁨은커녕 연일 폭락하는 쌀값으

로 고통받고 있다. 민간 도정업자는 물론 농협 RPC마저 매입가를 낮게 부르고 있어, 정부 공공

비축미 우선지급금이 40kg 조곡 한 포대 당 52천원으로 결정되었음에도 남부 지방의 경우

조곡 가격이 45천원대 이하로 내려가는 사례까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쌀 수급안정 추진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나,

구체적인 정책이 제시되지 못하는 가운데 산지 시장의 불안과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정부의 선

제적인 대책 제시와 실천이 있어야만 빠른 시간 내에 시장이 안정될 수 있으며, 5천만 국민의

주식인 쌀의 생산기반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한농연은 분명하게 지적하는 바이다.

 무엇보다도 국내 소비량 약 400만톤을 넘어서는 258천톤에 대해서는 공공비축미 39만톤과는

별도로 시장격리조치를 조속히 시행해 줄 것을 주문한다. 나아가 공공비축미의 매입량과 운용

규모를 늘리고, 농협 RPC 등의 매입 능력을 확충할 수 있게끔 무이자자금 지원 등의 조치를 신

속히 추진해 줄 것을 한농연은 강력히 촉구한다.

 특히 재고쌀에 대한 대북 차관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전향적인 자세로 나설 것을 촉

구한다. 108일 국회 농식품위가 대북 쌀 지원을 포함한 쌀 격리 확대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

였으며,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분석 결과를 보더라도 40만톤의 쌀을 북한에 지원할 경우 쌀 80kg

한 가마 당 가격이 7~8천원 상승함은 물론, 140만톤이 넘는 재고 쌀 관리를 위해 작년에 정부가

지출했던 1,824억원의 관리비용도 상당 부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쌀 수확기가 끝나는 11월 초·중순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수확기 쌀값 및 수급안정을 위

한 실효성 있는 정부 대책이 조기에 나와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루가 다르게 폭락하는

쌀값 때문에 고통받고 있는 현장 농업인의 애끓는 절규에 정부가 책임 있게 화답해 줄 것을 한농

연은 다시 한 번 강력히 촉구한다.

20151015

사단법인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