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표 ‘청년기본소득’ 개시

24세 청년에 연 100만원 지급, 1분기 접수 시동

 경기도가 청년기본소득을 개시, ‘이재명표 기본소득의 신호탄을 쐈다. 지급대상은 도내에 3년 이상 거주한 24세 청년에게 소득 등 자격 조건에 관계없이 분기별로 25만 원씩 연간 최대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제공하는 정책으로 1분기 신청대상자는 199412~199511일 출생자다.

 연령 및 거주기간 등 충족 여부를 확인한 후 25만 원의 지역화폐가 전자카드 또는 모바일 형태로 이달 20일부터 차례대로 지급된다.

 도는 올해 1~4분기에 걸쳐 175천 명(경기도 추산)에게 청년기본소득을 시행할 예정이다. 총 액수는 1753억 원(도비 70%, 군비 30%)이다. 지급받은 지역화폐는 주소지 지역 내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업체 등에서 현금처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화폐 특성상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SSM), 유흥업소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매년 비슷한 규모의 신청자가 이어진다고 가정하면 4년간 총 지급액수는 712억 원에 달한다.

 이번 정책은 농민소득,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 등 이재명표 기본소득 중 첫 번째로 현실화된 사안이다. 이재명 도지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대량실업문제의 해법으로 기본소득을 제시했다.

 한편 청년기본소득 신청은 시군청이나 주민센터가 아닌 경기도 일자리플랫폼 잡아바에서 휴대폰 번호를 이용 인증한 후 온라인으로 진행해야 한다. 다만 고용노동부에서 진행하는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지원을 받은 사람은 동일 연도 동시 지급이 불가능하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고사 직전 지역언론,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으로 활성화 모색한다
지방자치와 지역공동체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역언론(지방일간지,지역주간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국회 차원의 대책마련이 추진중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이학영 국회부의장,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임오경 민주당 간사를 비롯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윤덕, 박수현, 양문석, 이기헌, 조계원 등 국회의원 8명이 한국지역신문협회, 한국지방신문협회와 오는 9월 25일 오전11시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를 공동 개최한다. 전국 시군구 단위에서 발행되는 대표적 지역주간신문 165개사의 연합체인 한국지역신문협회(회장 권영석, 봉화신문 대표)와 시도 단위에서 발행되는 대표적 지방일간신문 9개사의 연합체인 한국지방신문협회(회장 이동관, 대구매일신문 대표)는 ‘국민이 직접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언론사에 지원금을 주도록 함으로써 고품질 저널리즘을 견인하고 언론사간 선의의 경쟁을 유도, 투명하고 공정한 미디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 토론회를 임오경 등 8명의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마련했다. 이날 토론회는 박수현 의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되며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으로 지역언론에 대한 이해가 깊은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