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세주 경기도의원

항생제내성균 양성율 90%
치사율 50% 비브리오패혈증 요양기관 보건 환경 점검 촉구

 황세주 경기도의원이 25일, 보건복지위원회(제376회 제2차)의 보건건강국 소관 업무보고를 받고,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에 ‘감염병 원인 병원체 감시’ 이후의 적극적인 사후조치를 주문했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은 감염병 발생을 예측하고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감염병 원인체에 대한 능동적 감시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인플루엔자 및 급성호흡기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감염증 △다중이용시설 레지오넬라균 △비브리오패혈증균 △항생제내성균(CRE/VRSA) △잠복결핵에 대한 검사를 추진했다.

 황세주 의원은 먼저, 감염병 검사결과를 확인하며, “항생제내성균 검사 양성율이 90%에 달한다는 사실에 놀랐다”면서 “접촉주의 감염예방(직접 또는 간접 접촉에 의해 다른 환자나 환경에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적용하는 방법)에 해당하는 감염병인데 요양병원에서는 이를 어떻게 관리할지 크게 우려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항생제내성균 검사는 총 6,849건을 실시했는데 6,128건(89.5%)에서 양성이 확인됐다.

 이어 황세주 의원은 “치사율이 50%에 달하는 비브리오패혈증균 감염이 10건(59건 중 10건, 양성률 16.9%), 활동성 결핵 발병우려가 있는 잠복결핵 감염도 1,546건(7,531건 중 1,546건, 양성율이 20.5%)이 확인됐다. 상대적으로 양성율은 낮지만, 자칫 도민 보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만큼 각별한 후속 조치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황세주 의원은 “감염병은 예방이 정말 중요하다. 보건환경연구원이 검사의 결과를 보고 연구만 할 것이 아니라, 후속조치도 적극적으로 해줄 것을 당부한다”며, “특히, 잠복결핵검사는 요양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는데 양성이 1,546건이나 나온 것은 요양병원의 보건 환경에 큰 문제가 있다고 보인다. 적극적인 행정대응을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황세주 의원은 보건환경연구원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까먹는 젤리류’에 대한 당류 함량 초과, 표시기준 위반 등을 공개한 성과를 언급했다.

 황세주 의원은 “캔디류를 접하는 소비층이 주로 어린 아이들과 어르신으로 건강 취약 계층이다. 문제점을 확인한 만큼 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와 조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황윤희 시의원, 전자파 안심지대 지정 조례 제정
황윤희 안성시의원이 대표발의한 ‘전자파 안심지대 지정 운영 조례(공동발의 최승혁, 이관실 의원)’가 30일, 안성시의회 본회의를 통과해 최종 제정됐다. 조례 제정에 따라 안심지대로 지정된 인근에는 송전선로 건설을 위한 도로점용 허가를 요청할 경우, 안성시는 우회하거나 지중화할 것을 권고할 수 있게 됐다. 전자파 안심지대로 지정할 수 있는 대상은 안성시의 어린이집과 아동·청소년 시설, 노인복지시설로 52개소가 범위에 포함된다. 단독건물에 위치한 국공립 어린이집은 의무적으로 안심지대로 지정해야 하고, 나머지 시설은 건물 이용자들의 이해충돌이 없을 경우 안심지대로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 안심지대로 지정되면 해당 건물에는 기지국을 설치할 수 없다. 기 설치된 경우에는 철거를 권고한다. 아울러 전자파 안심지대 경계로부터 30m 이내에 154kV 이상의 특고압 송전선로가 세워질 경우에는 안심지대를 우회하거나 지하 5m 이상으로 매설하도록 권고한다. 황윤희 의원은 “안성시에 신규 송전선로 건립이 예정되고 있는 만큼 전자파로부터 약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규정은 필요하다”고 조례발의 배경을 밝히며, “향후 안성시가 적극행정으로 최대한 많은 공간을 전자파 안심지대로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