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라 군대” 운운 유감

전 한나라당 안성시위원장 안상정

 최근 당나라 군대운운의 주장이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어느 공영방송의 논설위원이라는 사람이 자신의 트위터에서 다름 아닌 우리 대한민국 국군이 모든 면에서 당나라 군대같다고 표현한 것입니다. ‘당나라 군대란 군기가 빠져 오합지졸인 형편없는 군대를 지칭하는 일종의 속어입니다. 북한의 연평도 포격사태와 관련해 우리 군의 대응자세가 미덥지 못했다는 여론이 있다고는 하지만, 너무 지나치다는 생각입니다. 대한민국 국군이 졸지에 당나라 소속 군대가 되고, 금쪽같이 귀중한 아들을 군대에 보낸 부모 역시 당나라 국적이 되고 말았으니 쓴 웃음이 나옵니다. 도대체 명예를 먹고사는 군을 그렇게 폄하하고 희화화할 이유가 무엇인지 묻고 싶습니다. ‘당나라 군대가 어떤 유래를 갖고 있는지 알고서 그런 소리를 했는지 묻고 싶습니다.

 사실 당나라 군대라는 말 자체가 얼핏 모순이 있어 보입니다. 당나라야말로 중국 역사를 통틀어 가장 강성한 왕조였고, 그 토대가 강력한 군사력이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당나라가 급격한 쇠락 과정을 밟았고, 군대 역시 그랬다는 것입니다. 현종 말기 안녹산의 난이 휩쓸고 지나가면서 당나라 군대는 일사불란한 지휘통솔 체계가 무너집니다. 지방마다 군벌이 난립하고 사병화된 군대의 기강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어지러워집니다. 당나라는 외세의 침략에 속수무책 당할 수밖에 없었고, 서역 등 대부분의 식민지를 잃고 맙니다. 그래서 조롱하고 비아냥대는 말로 당나라 군대가 생겨났다는 것입니다. 한편 벤처업계의 전설 이민화 카이스트 교수는 저서를 통해 색다른 주장을 해서 눈길을 끕니다. 이 교수에 의하면 당나라 군대라는 어원은 나당전쟁즉 신라와 당나라가 한반도 패권을 놓고 싸웠던 상황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당나라는 동쪽에서는 신라와 싸우고 서쪽에서는 토번과 싸우면서 진퇴양난의 늪에 빠집니다. 이 때 특히 멀리 신라에 원정 왔던 당나라 군대가 전의를 잃고 우왕좌왕합니다. 그래서 당나라 군대라는 말이 생겨났다는 것인데, 퍽 설득력이 있어 보입니다.

 이번 연평도 사태 때 우리 국군은 강한 투혼과 감투정신을 보여주었습니다. 어느 병사는 철모가 불에 타들어 가는 것도 모른 채 싸웠고, 마지막 휴가를 나왔던 어느 병사는 급히 부대에 복귀하다가 전사하고 말았습니다. 우리 국군은 결코 당나라 군대로 폄하될 만큼 허약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초동대처나 무기관리, 전략전술 등에 있어 문제점이 많이 드러난 것도 사실입니다. 대통령과 정부가 총체적인 국방개혁방안을 마련한다고 하는데, 꼭 전화위복이 될 것으로 믿습니다. 지금 우리 국군에게는 호된 질책과 함께 따뜻한 격려도 필요합니다.

 다시는 당나라 군대운운의 부끄러운 자학성 주장이 나오지 않기를 바랍니다.

 

 

 


지역

더보기
최호섭 시의회 운영위원장, 24번째 찾아가는 민원 신문고 개최
최호섭 안성시의회 운영위원장이 지난 16일 금광면 하늘전망대 주차장에서 제24번째 ‘찾아가는 민원 신문고’를 개최했다. 이번 민원 신문고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하늘전망대의 실태를 점검하고, 방문객들의 불편 사항을 직접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갑작스러운 추위와 눈이 내리는 궂은 날씨 속에서도 500여 명의 방문객이 하늘전망대를 찾았다. 평소 주말이면 2,000여 명이 찾는 인기 관광지지만, 기상 악화로 인해 방문객 수가 줄어든 상황이었다. 행사에는 최호섭 운영위원장과 함께 안정열 안성시의회 의장, 정천식 부의장도 참석해 방문객들의 목소리를 경청했다. 성남시에서 방문한 한 관광객은 “장애인 주차장에 쌓인 눈이 방치되어 얼음덩이로 변한 모습을 보고 크게 실망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하늘전망대 안내소 직원들의 불친절한 응대도 도마 위에 올랐다. 방문객들은 안내소에서 불편 사항을 호소하면 시청에 직접 연락하라는 답변을 받았고, 한 방문객이 화장실에 따뜻한 물이 나오지 않는 이유를 묻자, 직원이 “국립공원 화장실에는 법적으로 따뜻한 물이 나오면 안 된다”고 답해 방문객을 당황케 했고, 또다른 방문객들은 안내소에 실제 정수기가 있지만 컵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