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言論의 자유로운 비판

<특별기고>

言論의 자유로운 비판

 

아시아일보 국장 편종국

 

 민주주의 사회에서 언론은 지자체와 정부를 감시하고 비판할 의무가 있다. 자유로운 언론의 비판이 없다면 권력은 부패하기 마련이다. 물론 당하는 권력의 입장에서야 그것이 달갑지 않을 것이다.

 ‘신문 없는 정부보다 정부 없는 신문을 택하겠다’는 명언으로 언론의 가장 좋은 친구로 불리는 토머스제퍼슨 조차 대통령 취임 후에는 반대파 신문을 언론자유 남용이라며 비난했다. 모든 지자체와 정부도 비판과 공격에 시달리게 될 것이다. 언론도 뼈를 깎는 자성과 함께 저널리즘의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 그동안 언론 전쟁을 치르며 알게 모르게 베어든 주창의적 보도태도를 지행해야한다.

 언론자유는 민주주의의 보루이며, 때로 남용을 수반한다. 자유의 남용을 두려워하며 권력이 개입하면 정론자유 그 자체가 설 자리를 잃게 된다. 언론과 권력의 상호 신뢰 회복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자유주의사회에서 사상과 표현의 자유는 절대적 가치를 갖는다.

 단 한사람의 전 인류와 다른 의견을 가진다고 할지라도 그의 의견은 존중되어야 한다. 그 한사람의 절대 권력을 장학했을 때 전 인류를 침묵하게 하는 것이 정당하지 못한 것과 같이 인류가 그 한사람을 침묵시키는 것도 정당하지 못하다. 언론사들이 갖는 논조의 다양성은 사회를 갈등하게 하고 분열시키는 저주가 아니라 발전시키는 축복이다. 자유민주주의사회에서 획일성은 악이고, 다양성은 선이다.

 이념이나 정책, 시사문제에 대해 각자 의견이 다르다는 사실은 그 사회의 건강을 보여주는 징표이다. 언론사와 언론인에 대한 어떤 현태의 공격도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공격이 우리사회에서 허용되고 있다면 그것은 지자체와 국가의 잘못이고, 지자체와 국가의 직무유기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최호섭 시의회 운영위원장, 24번째 찾아가는 민원 신문고 개최
최호섭 안성시의회 운영위원장이 지난 16일 금광면 하늘전망대 주차장에서 제24번째 ‘찾아가는 민원 신문고’를 개최했다. 이번 민원 신문고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하늘전망대의 실태를 점검하고, 방문객들의 불편 사항을 직접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갑작스러운 추위와 눈이 내리는 궂은 날씨 속에서도 500여 명의 방문객이 하늘전망대를 찾았다. 평소 주말이면 2,000여 명이 찾는 인기 관광지지만, 기상 악화로 인해 방문객 수가 줄어든 상황이었다. 행사에는 최호섭 운영위원장과 함께 안정열 안성시의회 의장, 정천식 부의장도 참석해 방문객들의 목소리를 경청했다. 성남시에서 방문한 한 관광객은 “장애인 주차장에 쌓인 눈이 방치되어 얼음덩이로 변한 모습을 보고 크게 실망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하늘전망대 안내소 직원들의 불친절한 응대도 도마 위에 올랐다. 방문객들은 안내소에서 불편 사항을 호소하면 시청에 직접 연락하라는 답변을 받았고, 한 방문객이 화장실에 따뜻한 물이 나오지 않는 이유를 묻자, 직원이 “국립공원 화장실에는 법적으로 따뜻한 물이 나오면 안 된다”고 답해 방문객을 당황케 했고, 또다른 방문객들은 안내소에 실제 정수기가 있지만 컵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