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마스크 풍경

이경구

<수필>

마스크 풍경

 

이경구(재경안성산악회고문, 한산이씨광목공파종회회장)

 

 3월6일- 나는 동네 약국 앞에서 줄을 섰다. 30분이 지나고 1시간이 지나서야 긴 줄은 움직이기 시작했다. 줄서기를 하는 동안 사람들의 표정은 굳어 있고 손은 핸드폰을 만지작거리고 더러는 슬쩍 새치기를 하는 사람도 있었다.

 마스크 공급량이 부족해지자 정부에서는 마스크 5부제를 시행한다고 발표했고 3월 9일부터 생년월일 끝자리 1부터 10까지를 반으로 나누어 주 5일 간 마스크 구입방안을 정세균 총리가 제안했다고 한다.

 나는 마스크로 꽃피운 줄서기 행렬을 보며 이 절실한 현실을 사회적 측면과 개인적인 측면에서 생각해 보았다. 두 가지 모두 ‘필요성’ 때문이리라. 사회적으로는 <코로나19> 를 퇴치시키고 더 이상 감염을 막으려는 것이고, 개인적으로는 언제 어느 곳에서 감염될지 모르는 <코로나19> 로부터 나를 지키기 위한 필사의 노력일 것이다.

 오래전에 유럽 여행을 한 적이 있다. 독일의 프랑크프르트 뢰머광장을 관광하던 중 벌어진 일이다. 우리 일행 하나가 마스크를 썼다. 현지가이드는 그 여행자를 암담하게 바라보며 마스크를 왜 썼느냐고 묻었다. 독일에서는 전염병이나, 중병이 아니면 마스크를 쓰지 않기 때문에 혹시 의심을 받을까봐 조심스럽다고 했다.

 이렇게 사용되던 마스크가 지금의 우리에겐 어느새 일상의 꼭 필요한 준비물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세상은 참으로 묘한 것이어서 마스크를 쓰지 않은 사람은 도리어 이상하게 보이는 세상이다. 마스크 꽃들이 하얗게 펼쳐진 거리, 사각의 마스크는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하다.

각양각색의 마스크 풍경을 보며 그냥 평면적이고, 일반적인 시각으로 살아온 날들은 요즘에는 가스로 가득 메워지는 듯한 답답한 날들로 변해간다.

 사방은 인기척이 없다. 거실에 앉아 꿈을 꾼 듯한 기분으로, 꿈을 깬 듯한 기분으로 창밖을 내다본다. 어딘가에 남아있을 맑은 공기가 그립다.

 소파에 앉아 뉴스를 듣는다. <코로나19> 특집뉴스다. 채널을 돌려보지만 온통 코로나다. ‘마스크꽃’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건 이젠 평범한 진리가 되었다. 화려하지 않으나 믿음직하고 담담한 표정의 꽃이다.

 3월 10일- 비가 내렸다. 길고 긴 행렬 속에서 1시간을 마스크 꽃으로 서 있다가 허탕 치고 돌아왔다. 오늘은 어린이 마스크만 입고되었다는 것이다. 꽃과 꽃들이 마주서던 긴 시간은 지나고 언제 피고 질지 모르는 꽃 같은 인생을 생각해 본다. 마스크가 아쉬워지는 꽃잎 같은 날이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최호섭 시의회 운영위원장, 24번째 찾아가는 민원 신문고 개최
최호섭 안성시의회 운영위원장이 지난 16일 금광면 하늘전망대 주차장에서 제24번째 ‘찾아가는 민원 신문고’를 개최했다. 이번 민원 신문고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하늘전망대의 실태를 점검하고, 방문객들의 불편 사항을 직접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갑작스러운 추위와 눈이 내리는 궂은 날씨 속에서도 500여 명의 방문객이 하늘전망대를 찾았다. 평소 주말이면 2,000여 명이 찾는 인기 관광지지만, 기상 악화로 인해 방문객 수가 줄어든 상황이었다. 행사에는 최호섭 운영위원장과 함께 안정열 안성시의회 의장, 정천식 부의장도 참석해 방문객들의 목소리를 경청했다. 성남시에서 방문한 한 관광객은 “장애인 주차장에 쌓인 눈이 방치되어 얼음덩이로 변한 모습을 보고 크게 실망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하늘전망대 안내소 직원들의 불친절한 응대도 도마 위에 올랐다. 방문객들은 안내소에서 불편 사항을 호소하면 시청에 직접 연락하라는 답변을 받았고, 한 방문객이 화장실에 따뜻한 물이 나오지 않는 이유를 묻자, 직원이 “국립공원 화장실에는 법적으로 따뜻한 물이 나오면 안 된다”고 답해 방문객을 당황케 했고, 또다른 방문객들은 안내소에 실제 정수기가 있지만 컵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